지난 금요일은 IPO 혹은 창립 이후 트윌리오에게 악몽과도 같은 날이었습니다. 회사의 주가가 11월 4일 금요일 거래에서 하루만에 약 35% 이상 폭락하였기 때문입니다. 하루 전 3분기 재무 결과에서 4억 8,230만 달러의 순 손실이 보고된 직후 입니다. 트윌리오 (Twilio)는 고객과 관련된 모든 커뮤니케이션 관련 제품을 제공하는 클라우드 API/ SaaS 스타트업으로, 우리가 서비스 가입시 받아보게 되는 인증문자에 해당하는Continue reading “시가 총액의 89% 가 증발, 트윌리오와 B2B 스타트업 매출 총이익 관리의 중요성”
Author Archives: kimchihill
실리콘밸리의 스타트업 바이블 1 – ‘탁월한 조직이 빠지기 쉬운 5가지 함정’
친구들과 팀 스포츠 경기를 해보신 분이라면, 원론적으로 당연한 ‘팀워크’를 성공하기가 얼마나 어려운지 실감하실 것 입니다. 하물며, 다 큰 어른들이 각자 세부적으로 다른 성공의 목표를 가지고 있는 회사에서, 시스템과 원칙이 여물지 않은 스타트업이라면 혼란이 더 크리라 예상합니다. 특히, 기존 멤버에서 경력직 멤버가 추가되는 여정, 한국팀 위주로 구성되었다가 글로벌 오피스를 세우며, 외국인 임원들이 입사하며 겪게 되는 입체적Continue reading “실리콘밸리의 스타트업 바이블 1 – ‘탁월한 조직이 빠지기 쉬운 5가지 함정’”
‘특별함’에 대한 생각, 소망, 각오
초기 스타트업의 험로 (Death valley)는 그 구성원이 자신과 자신의 여정이 특별하다는 믿음을 가지지 않는다면 이겨낼 수 없을만큼 고단하다. 그렇기 때문에, 자신은 특별하다는 확신을 이용해 자신을 채찍질 하는 것이 불가피 하다는 생각도 든다. 하지만, ‘나는 특별하다. 혹은 특별하고 싶다’ 생각은 ‘나는 어쩌면 특별하지 않을지 모른다’라는 불안의 다른 모습일 수 있다. 팀이 100명 이상의 규모로 성장했을 때,Continue reading “‘특별함’에 대한 생각, 소망, 각오”
Upfront Venture가 전망하는 대규모 시장 침체와 향후 글로벌 VC 전망
프롤로그(Prologue): Upfront 벤처스의 파트너, Mark Suster의 글 ( ‘What Does the Post Crash VC Market Look Like?’)을 본인 동의를 얻어 번역하였습니다. Upfront 벤처스는 $3.3B (4.7조원)의 자금을 운영하는 VC로, 시드라운드와 같은 초기 스타트업에 주로 투자하며, 1996년 설립된 이 후 LA와 SF 지역에서 활발히 투자를 이어가고 있습니다. 한국 및 미국 모두 대기 자금 (‘Dry Powder’)이 역대급으로 쌓여있는Continue reading “Upfront Venture가 전망하는 대규모 시장 침체와 향후 글로벌 VC 전망”
김치힐을 운영하는데 들어가는 시간과 비용
주변에서 도대체 시간이 어떻게 나서 김치힐을 운영하는지 질문을 자주 받습니다. 뉴스레터 구독자 분들께서도, 웹사이트 제작, 마케팅, 콘텐츠 제작 등 정말 혼자 하는 것이 맞는지, 분명 엄청 바쁠 텐데, 어떻게 시간이 나서 김치힐을 운영하는지 궁금해 하십니다. 오늘은 제가 김치힐에 들이는 돈과 시간, 그리고 운영 방법을 숨김 없이 공유하겠습니다. 김치힐 운영을 위한 구성 요소와 총 비용 김치힐Continue reading “김치힐을 운영하는데 들어가는 시간과 비용”
1세대 ‘미디어 커머스’의 한계, 앞으로는 양방향 (라이브) 소통과 브랜드가 답이다
미디어 커머스는 미디어(Media)와 상업을 뜻하는 커머스(Commerce)의 합성어로 유튜브, 인스타그램, 틱톡 등의 SNS 채널을 통해 제품을 홍보하고 판매하는 방식의 전자 상거래 서비스를 말한다. D2C로 대변되며, 초기 상품 기획에 강점을 가지고 등장한 미디어 커머스는 점차 웹예능, 웹드라마, 숏폼 영상 등을 즐기는 소비자들의 미디어 소비 행태에 발맞추어 진화해 나갔으며, 2021년 약 106조 원의 거대 시장으로 성장했다. (소비자 통계청Continue reading “1세대 ‘미디어 커머스’의 한계, 앞으로는 양방향 (라이브) 소통과 브랜드가 답이다”
글로벌 SaaS 만드시려면, ‘제발’ 영어 콘텐츠랑 SEO 하셔야 합니다
한국에도 SaaS 스타트업이 인기를 얻어 많은 SaaS 기반의 스타트업이 등장하는 것이 반갑습니다. 하지만, 아래 분석에서도 살펴볼 수 있듯, 인수합병을 생각하는 것이 아니라면, 유의미한 타깃 시장 (TAM: Total Addressable Market)이 최소 2~5조 원이 필요한 SaaS 산업에서 해외 진출은 선택이 아닌 필수입니다. 해외 진출을 바꾸어 말하면, 해외 고객의 유치, 해외 고객의 매출을 중심으로 한 성장을 말하며, 이를Continue reading “글로벌 SaaS 만드시려면, ‘제발’ 영어 콘텐츠랑 SEO 하셔야 합니다”
Are you trying to hire the first VP of Sales in your SaaS startup? You have to read this
If you are the founder of a B2B SaaS startup and have finally reached the stage of hiring your VP of Sales, we hope this helps you. The reason why we phrased the title so strongly is that the VP of Sales position is almost the first external executive hire at a B2B SaaS startupContinue reading “Are you trying to hire the first VP of Sales in your SaaS startup? You have to read this”
역시 생성모델 (Generative AI)이 미래다
가트너가 ‘2022년 이머징 테크놀로지 하이프 사이클 (Hype Cycle for Emerging Technologies, 2022)’보고서를 발표하며, AI 자동화 및 가속화가 중요한 화두이며, 이를 위해 주목해야 할 기술로 제너레이티브 AI (Generative AI, 생성형 AI모델)를 선정했습니다 제너레이티브 AI란? 제너레이티브 AI는 이용자가 AI에게 어떤 것을 만들어 달라고 요구하면, 그 요구에 맞춰서 결과를 만들어내는 인공지능을 말합니다. AI에게 특정 개념을 학습 시키는 것이Continue reading “역시 생성모델 (Generative AI)이 미래다”
월드클래스 채용팀이 역량 강화를 위해 참고하는 10가지 영업 조직의 운영 노하우
한 창업자 분께서 제게 묻습니다. “채용이 너무 어렵고 경쟁이 심합니다. 리크루팅 팀이 아웃바운드를 해봐도 뾰족한 효과를 보기 어렵습니다”. 특히 자주 접하는 질문은 다음과 같습니다 “센드버드는 초반에 어떻게 채용을 하셨어요?” 이에 대한 답변으로, 저는 흔히 채용 경험 뿐 아니라 마케팅 및 영업 조직을 이끌어본 경험을 함께 담아 풀어내곤 합니다. 저의 경험 또한 제한적이지만, 시간이 지날 수록Continue reading “월드클래스 채용팀이 역량 강화를 위해 참고하는 10가지 영업 조직의 운영 노하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