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bpx

Kimchi hill

SaaS/B2B 스타트업을 성공으로 이끄는 영업 및 마케팅 파이프라인 분석

Software 및 B2B 스타트업에 근무한다면 영업 파이프라인 미팅을 경험하셨을 겁니다. 많은 스타트업에서 파이프라인 미팅을 현재 파이프라인 커버리지 (pipeline coverage) 및 잠재 영업 대상을 주로 살펴보는 팀 혹은 리더십 미팅으로 정의합니다.  하지만 검토의 대상을 마케팅의 Demand generation, pre-qualified 파이프라인까지 확장하고, 파이프라인 모델 자체를 면밀하게 분석하려는 것을 포함하면 파이프라인 미팅이 가지는 전략적 목적이 달라지며, 매출이 만들어지는 전체Continue reading “SaaS/B2B 스타트업을 성공으로 이끄는 영업 및 마케팅 파이프라인 분석”

SaaS 스타트업 기업가치 평가를 위한 2022년 최신 지표 트렌드 분석 – 2편(수익성편)

앞서, ‘SaaS 스타트업 기업가치 평가를 위한 분석 – 1편’ 에서는 본 시리즈를 시작하게 된 배경과 함께, 높은 기업가치 Multiples을 누리는 SaaS 스타트업들의 매출 성장률 및 Gross margin (매출 총 이익)의 트렌드를 살펴보았습니다. 첫 번째 글을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매출 대비 높은 기업가치 (의 Multiples)를 인정받는 상장된 SaaS 스타트업은 110~120%의 높은 연간 성장률을 누리고 있으며, $25mContinue reading “SaaS 스타트업 기업가치 평가를 위한 2022년 최신 지표 트렌드 분석 – 2편(수익성편)”

“VC의 투자 실사가 더욱 빡세게 돌아왔다” 외 [김치힐 뉴스레터 22-07-16]

  지난 2월 이후, 5개월 가깝게 뉴스레터를 이어가지 못해 죄송합니다. 그 동안 자리를 지켜주신 약 1,000명의 뉴스레터 가입자 분들께 감사하며, 7월부터는 뉴스레터 발송주기를 조절하되, 몇개지 공통된 테마를 가지고 뉴스레터를 꾸려가고자 합니다. VC 투자 트렌드, 유력 SaaS회사의 성장스토리, B2B/SaaS 회사의 영업 및 마케팅 노하우, 실리콘밸리 발 불황에 대한 뉴스를 공통 주제로 다루고, 매 뉴스레터마다 꼭 읽었으면Continue reading ““VC의 투자 실사가 더욱 빡세게 돌아왔다” 외 [김치힐 뉴스레터 22-07-16]”

스타트업에서, 조금은 특별했던 한 달 간의 육아 휴직을 마치며

센드버드에 다니는 모든 구성원은, 출산을 한 당사자 및 배우자 모두 세 달간의 유급 육아 휴직을 가질 수 있다. 나 또한, 22년 5월을 기준으로 8개월이 된 영유아를 가진 초보 부모였기 때문에, 5월 16일부터 한 달간의 육아 휴직을 사용하게 되었다. 한 법인의 대표자로 등록되어 구성원들의 다양한 요구에 봉사해야 하는 역할을 맡은 나의 육아 휴직이 우리 회사의 일반적인Continue reading “스타트업에서, 조금은 특별했던 한 달 간의 육아 휴직을 마치며”

영어, 토종한국인이 글로벌 스타트업을 만들기까지 얼마나 필요한가?

최근 (22년 6월 10일) 페이스북 및 지인들 사이에서 ‘아자르’의 안상일 대표가 인터뷰 한 기사가 화제가 되고 있다. (참고: “내가 영어 잘했다면…” 2조에 회사 판 한국인 대표의 후회) 글로벌 진출에 대한 컨텐츠를 과거 여러번 다룬바 있어, 이번에는 글로벌 진출에 빼놓을 수 없는 영어라는 주제로 나의 경험을 얘기해보고 싶다. 나의 경우 한국에서 태어나 33년을 한국에서 보낸 뒤,Continue reading “영어, 토종한국인이 글로벌 스타트업을 만들기까지 얼마나 필요한가?”

토스 – 파운드, 4개월 간의 여정을 마치며

제가 팀 유니콘의 (심사위원, 코치 혹은 멘토 등의 역할을 수행했던) 파트너로 4개월 간 참여했던 ‘토스: 파운드’가 드디어 대단원의 막을 내렸습니다. 첫번째 라운드, ‘40초 엘레베이터 매치’를 시작으로, 매 라운드 마다 내가 파운더분들의 사업을 평가하여 당락을 결정지을 자격이 있을지 엄청난 고민을 하게 만들었던 프로그램이었습니다. 처음에는 센드버드의 CEO이자 창업자인 김동신 대표님이 참석하기로 되어 있던 프로그램에 대신 참석하여, 파운더분들과,Continue reading “토스 – 파운드, 4개월 간의 여정을 마치며”

그 어떤 가치도, 안전에 대한 절대적 보장보다 앞설 수 없습니다.

2022년 5월 25일 (미국시간), 텍사스 유밸디의 롭 초등학교에서 발생한 총격참사로 19명의 천사같은 아이들과 2명의 교사가 목숨을 잃었습니다. 이는 통계가 집계된 1991년 이례, 미국에서 7번 째로 많은 사상자를 발생시킨 총격 참사 입니다. 미국의 총기 관련 상황, 얼마나 심각한가? BBC가 오늘 (22년 5월 26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미국에서는 매일 53명이 총기사고로 사망하고 있으며, 2020년 발생한 죽음의 약Continue reading “그 어떤 가치도, 안전에 대한 절대적 보장보다 앞설 수 없습니다.”

2022년 코로나 종식에 즈음해 디지털 일본을 보고 오다

2021년 말 기준 GDP 가 전세계 3위에 이를 정도로 (4.97 Trillion) 여전히 경제 대국의 위치를 누리는 일본에 대한 확인되지 않은 선입견이 있습니다. 일본은 소프트웨어나 스타트업의 발달이 한국 보다 느리며, 변화를 싫어하는 국민성, 아날로그에 머물러 있는 레거시의 영향이 스타트업, 소프트웨어 및 클라우드의 발달을 느리게 한다는 것입니다. 제가 리서치에서 확인한 바에 따르면, 일본의 SaaS (Software-as-a-Service)와 퍼블릭 클라우드Continue reading “2022년 코로나 종식에 즈음해 디지털 일본을 보고 오다”

SaaS 스타트업 기업가치 평가를 위한 2022년 최신 지표 트렌드 분석 – 1편(성장편)

코로나 이후 재택근무와 디지털 변혁 (digital transformation)이 촉매제가 되어 빠르게 우리 삶 가운데로 침투한 클라우드 기반의 SaaS 스타트업은 최근까지 폭발적인 기업가치 상승을 경험하였습니다. 하지만, 2021년 11월을 정점으로 공개주식 시장의 대규모 조정이 일어나며, 비상장 SaaS 스타트업의 기업가치 또한 큰 조정 국면에 직면한 상황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최근의 글로벌 시장 트렌드를 반영할 수 있도록, 데이터와 분석에 기반해 SaaSContinue reading “SaaS 스타트업 기업가치 평가를 위한 2022년 최신 지표 트렌드 분석 – 1편(성장편)”

Zendesk의 Momentive (구 서베이몽키) 인수 결렬 외

최근 글로벌 SaaS 업계에서 모두가 주목하던 이벤트가 일단락 되었습니다. Zendesk의 Momentive Global (구 SurveyMonkey) 인수제안은 오늘 Zendesk 주주들이 압도적인 반대표를 보여줌에 따라 결렬되었습니다. The Information지에 따르면 양사의 지분을 보유한 두 펀드 (Jana Partners – Zendesk, Legion Partners – Momentive)로부터 향후 두 회사의 이사회에서 각각의 CEO의 자리를 위협할 수 있는 행동주의 캠페인이 기대된다고 합니다.  본 인수에Continue reading “Zendesk의 Momentive (구 서베이몽키) 인수 결렬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