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5월 25일 (미국시간), 텍사스 유밸디의 롭 초등학교에서 발생한 총격참사로 19명의 천사같은 아이들과 2명의 교사가 목숨을 잃었습니다. 이는 통계가 집계된 1991년 이례, 미국에서 7번 째로 많은 사상자를 발생시킨 총격 참사 입니다. 미국의 총기 관련 상황, 얼마나 심각한가? BBC가 오늘 (22년 5월 26일)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미국에서는 매일 53명이 총기사고로 사망하고 있으며, 2020년 발생한 죽음의 약Continue reading “그 어떤 가치도, 안전에 대한 절대적 보장보다 앞설 수 없습니다.”
Author Archives: kimchihill
2022년 코로나 종식에 즈음해 디지털 일본을 보고 오다
2021년 말 기준 GDP 가 전세계 3위에 이를 정도로 (4.97 Trillion) 여전히 경제 대국의 위치를 누리는 일본에 대한 확인되지 않은 선입견이 있습니다. 일본은 소프트웨어나 스타트업의 발달이 한국 보다 느리며, 변화를 싫어하는 국민성, 아날로그에 머물러 있는 레거시의 영향이 스타트업, 소프트웨어 및 클라우드의 발달을 느리게 한다는 것입니다. 제가 리서치에서 확인한 바에 따르면, 일본의 SaaS (Software-as-a-Service)와 퍼블릭 클라우드Continue reading “2022년 코로나 종식에 즈음해 디지털 일본을 보고 오다”
SaaS 스타트업 기업가치 평가를 위한 2022년 최신 지표 트렌드 분석 – 1편(성장편)
코로나 이후 재택근무와 디지털 변혁 (digital transformation)이 촉매제가 되어 빠르게 우리 삶 가운데로 침투한 클라우드 기반의 SaaS 스타트업은 최근까지 폭발적인 기업가치 상승을 경험하였습니다. 하지만, 2021년 11월을 정점으로 공개주식 시장의 대규모 조정이 일어나며, 비상장 SaaS 스타트업의 기업가치 또한 큰 조정 국면에 직면한 상황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최근의 글로벌 시장 트렌드를 반영할 수 있도록, 데이터와 분석에 기반해 SaaSContinue reading “SaaS 스타트업 기업가치 평가를 위한 2022년 최신 지표 트렌드 분석 – 1편(성장편)”
Zendesk의 Momentive (구 서베이몽키) 인수 결렬 외
최근 글로벌 SaaS 업계에서 모두가 주목하던 이벤트가 일단락 되었습니다. Zendesk의 Momentive Global (구 SurveyMonkey) 인수제안은 오늘 Zendesk 주주들이 압도적인 반대표를 보여줌에 따라 결렬되었습니다. The Information지에 따르면 양사의 지분을 보유한 두 펀드 (Jana Partners – Zendesk, Legion Partners – Momentive)로부터 향후 두 회사의 이사회에서 각각의 CEO의 자리를 위협할 수 있는 행동주의 캠페인이 기대된다고 합니다. 본 인수에Continue reading “Zendesk의 Momentive (구 서베이몽키) 인수 결렬 외”
$85M ARR에 IPO해서 빠르게 성장하는 CS Disco 이야기 외
금주 뉴스레터는 극초기 SaaS 스타트업이 글로벌에서 고객을 확보할 수 있는 10가지 마케팅 채널 의 컨텐츠를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다소 짧게 준비하였습니다. 아직 해당 컨텐츠를 못 읽어보셨다면 위의 링크를 클릭하여 참고해주세요. 그동안 김치힐의 컨텐츠가 영업, 운영 (오퍼레이션), 투자 및 글로벌 트렌드를 주로 다뤘기에 마케팅 주제로 준비해보았습니다. 아래는 글로벌 SaaS 소식인 CS Disco 소식으로 시작합니다. 작년 12월 중순부터Continue reading “$85M ARR에 IPO해서 빠르게 성장하는 CS Disco 이야기 외”
극초기 SaaS 스타트업이 글로벌에서 고객을 확보할 수 있는 10가지 마케팅 채널
오랜 제품 개발을 마치고, 지인 (친구, 동료 스타트업, 초기 투자자)을 통한 Early-bird 테스트에서도 좋은 피드백은 받은 SaaS 제품의 창업자 혹은 초기 멤버인 당신에게 미션이 떨어졌습니다. 글로벌 마켓으로 나가자! 초기 100명의 고객을 유치할 것! 하지만, 제대로된 마케팅이나 영업을 하기에는 부족한 것이 많은 극 초기 스타트업에서는 무엇을 시도 할지 엄두조차 나지 않을 때가 많습니다. 게대가 당신이 만약Continue reading “극초기 SaaS 스타트업이 글로벌에서 고객을 확보할 수 있는 10가지 마케팅 채널 “
최근 ‘왜 센드버드 나가서 스타트업 안하세요?’라고 세 번 질문 받았다
최근 여러 회사 안팎의 사람들과 캐주얼한 자리를 가지며, “상희는 왜 스타트업 안하세요?”라는 질문을 듣게 되었다. 굳이 캐물어, “저 지금 스타트업 하고 있는데요? 제가 뭔가 센드버드를 나가서 나만의 스타트업을 할 것 같아 보여요?”라고 되묻지는 않았지만 조금 더 대화를 이어나가며, 그 질문이 “센드버드를 나가서 본인이 Co-founder 나 CEO로써 스타트업을 하고 싶지 않느냐?”라는 질문이란 생각이 들었다. 이 글은Continue reading “최근 ‘왜 센드버드 나가서 스타트업 안하세요?’라고 세 번 질문 받았다”
SaaS 스타트업의 꽃, ‘오퍼레이션’의 세계
초기 스타트업에는 개발, 디자인 등 기술적 전문성을 요구하는 직군에 소속되지 않았지만, 스타트업의 생존을 위해 필요한 각종 업무와 사업적 역할을 수행하는 구성원들이 있습니다. 저 또한 Head of Growth 라는 타이틀로, 2015년 B2B 사업모델로 출범한 센드버드의 첫 직원이자, 비 개발직군으로 비슷한 역할을 맡았던 기억이 납니다. 오늘은 북미/실리콘밸리에서 SaaS 스타트업을 중심으로 태동한 ‘Operations’이라는 직군에 대해 자세히 살펴보려 합니다.Continue reading “SaaS 스타트업의 꽃, ‘오퍼레이션’의 세계”
7년 간의 스타트업 경험이 가르쳐 준 ‘미덕의 역설’
우리가 지향해야 하는 가치관 혹은 선망하는 미덕들 중에는, 그 선망하는 마음이 너무 강렬해서 인지, 때로는 너무나 당연히 지켜야 하는 규범처럼 얘기되는 것들이 있다. 사람들의 관심이 집중되는 성공한 스타트업과 창업자들의 인터뷰, 그들의 성공을 다룬 몇몇 책들을 통해 이러한 미덕은 신화가 되고, 당연히 따라야 할 절대 가치로 여겨지곤 한다. 예를 들면, 자율성의 문화, 로켓으로 비유하는 고속 성장,Continue reading “7년 간의 스타트업 경험이 가르쳐 준 ‘미덕의 역설’”
매출 (ARR)의 80배 multiple에 달하는 약 9조원에 투자를 유치한 ‘램프(Ramp)’ 외
상장한 테크 주들의 급락으로, 스타트업 투자에도 재조정이 이루어 지고 있다는 Tiget Global의 뉴스가 나온지 채 일주일이 되지 않아, ARR (매출)의 약 80배의 멀티플에 달하는 9조 원에 시리즈 D 투자를 유치한 Ramp가 화제입니다. 김치힐의 2022년 다섯 번째 뉴스레터 시작합니다. 이메일로 뉴스레터를 받아보고, 가입자들에게만 공유되는 소식, 인재 구직 등의 혜택이 궁금하다면 아래에 이메일을 입력해 ‘김치힐 뉴스레터’에 가입해 보세요. JoinContinue reading “매출 (ARR)의 80배 multiple에 달하는 약 9조원에 투자를 유치한 ‘램프(Ramp)’ 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