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bpx

Kimchi hill

The Information이 바라본 글로벌 테크산업 20가지 2022년 주요 전망 외

2022년 1월 4일 발송 뉴스레터

2021년 글로벌 테크 산업의 20가지 주요 전망 소식과 함께 김치힐의 2022년 첫번 째 뉴스레터 시작합니다.

본 뉴스레터는 구독자 분들께 매주 초 우선 발송된 내용입니다. 아직 뉴스레터에 가입하지 않았다면, 이메일을 입력해 ‘김치힐 뉴스레터’에 가입해 보세요.

The Information이 바라본 글로벌 테크산업 20가지 2022년 주요 전망

The Information의 리포터 들의 그들의 각 분야 전문가들과 함께 제공하는 2022년 20대 주요 예측 전망입니다. 구글, Meta, Amazon 및 Apple 등 주요 기업과 함께, Cloud/Crypto 등 산업 전망 20개가 포함되었습니다. 

Alphabet 및 구글에 대한 전망 (Sarah Krouse)
1. 알파벳 소유의 Waymo가 상장할 것을 예측 했습니다. 2021년 $30bn 기업가치에 머무른 이후 상장을 통해 임직원에게 적절한 보상을 해주는 한편, 기업가치 상승을 실현할 것으로 보입니다. 

Cloud/Enterprise 시장 전망 (Kevin McLaughlin)
2. Snowflake가 머신러닝 모델 관련 제품 라인업을 확충 및 정교화하기 위해 최소 $2bn 규모의 인수합병을 노릴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예상후보로는 DataRobot, Dataiku 및 H2O.ai 와 같은 회사들이 거론되었네요
3. Amazon이 AWS를 분사할 것으로 내다보았습니다. 현 Amazon의 CEO인 Andy Jassy는 이 정보를 부인했지만, The Information 및 투자자들은 Amazon에 조금 더 집중하고 있는 규제 등을 종합할때 가능성이 높은 시나리오라고 전망했습니다.  

Media/Entertainment 시장 전망(Jessica Toonkel)
4. Activision Blizzard의 Bobby Kotick가 CEO에서 내려오고, 그 자리를 대체할 CEO로 Jason Kilar (CEO of WarnerMedia), Sarah Bond (Corporate Vice President, Microsoft Games Group)이 거론되고 있습니다. 

Creator Economy 산업 전망 (Kaya Yurieff 및 Laura Mandaro)
5. Youtube가 크리에이터 들이 자유롭게 NFT를 판매할 수 있도록 마켓플레이스를 출시할 것이란 전망입니다. 
6. Microsoft가 Cameo ($1bn) 혹은 Patreon ($4bn) 인수를 통해 Creator Economy 시장 진입을 저울질 하고 있다는 전망입니다. 최근 TikTok, Pinterest, Discord 인수에서 쓴물을 마셨거나 간만 보았던 Microsoft가 이제는 딜을 마칠 수 있을지 귀추가 주목됩니다. 

Augmented/Virtual Reality 전망 (Mathew Olson)
7. 메타가 비디오 게임 회사 인수를 통해 Quest 기기의 판매를 더욱 촉진하고 게임콘솔들의 대항마가 되는 전략을 실행할 것으로 내다보았습니다. 

Mobility/Autonomous Vehicles 분야 (Steve LeVine)
8. 애플이 인수합병을 통한 완성차 시장에 진출할 것이라고 하네요.

Meta Platforms 관련 전망 (Sylvia Varnham O’Regan)
9. CEO 마크 저커버그가 지속적으로 젊은 ‘Young Adult’가 회사의 주요 타깃이라 천명한 바 있어, 최근 사회적 비판에도 인스타그램을 아동용으로 개편한 제품을 2022년 출시할 것이라는 전망을 내어 놓았습니다. 

Crypto 관련 전망 (Hannah Miller)
10. (김치힐의 의견이 아님을 거듭 밝힙니다) 비트코인 가격이 역대 최고치였던 $69K를 넘어서 $100,000에 육박할 것으로 내다보았습니다. 크립토 시장의 변동성에도 더 광범위하게 크립토커런시가 수용될 것으로 보았으며, 
11. 이에 추가하여 JPMorgan Chase가 crypto exchange에 관심을 보이는 한편 JPM Coin 등을 만들어 Crypto funds 투자 상품을 출시할 것으로 보았습니다. 

Asia Tech 시장에 대한 전망 (Juro Osawa, Wayne Ma)
12. TikTok의 월간 이용자가 최근 10억명을 돌파하였습니다. 2022년에 틱톡은 광고제품을 더욱 고도화 하여 광고 플랫폼으로 Meta 및 Google을 위협하는 서비스가 될 것으로 전망하였습니다. 
13. 또한 테슬라가 중국 배터리 제조업체와 주요 투자 계약을 진행할 것이 예측되었습니다. 이를 두고 인텔, 퀄컴 등이 검증한 성공방정식을 답습하는 것이라 내다 보았습니다. 

테크 산업에 대한 정책 및 규제 동향 (Josh Sisco)
14. 20년전 Window 및 Office 끼어팔기 의혹과 함께 겪어야 했던 것과 마찬가지로, 내년도 Microsoft는 슬랙 및 다른 사업자로부터 반독점과 관련된 유사한 소송으로 큰 내홍을 겪을 것으로 내다보았습니다. 
15. 미국 의회는 구글, 애플, 메타, 아마존 등의 기업의 인수합병에 제동을 걸 규제 관련 예산을 확충하고, 구글, 애플이 다른 결제 수단을 허용하도록 압박할 것으로 전망합니다. 
16. 마지막으로 FTC는 도어대시, 우버이츠와 같은 사업자들의 음식점/배달 드라이버와의 계약을 조사하고 공정계약 여부를 판단할 예정입니다.   

Venture Capital 및 스타트업 일반에 대한 전망 (Kate Clark 및 Berber Jin)
17. VC들의 경쟁적인 투자, 예전보다 간소한 실사 과정 등에 영향을 받아 스타트업 기업가치는 내년에도 폭발적인 상승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18. 앞서 안드레센호로위츠의 크립토 펀드를 나와 개인 펀드를 차린 Katie Haun의 뒤를 이어 Chris Dixon도 독립 펀드를 차릴 것으로 예상합니다. 

Amazon 및 이커머스 산업 전망 (Paris Martineau, Mark Di Stefano) 
19. 최근 전미노동관계위원회 (National Labor Relations Board)의 전폭적 지지로 아마존의 노조 결성이 끝내 이뤄질 전망입니다. 물론 아마존은 제소할 것으로 내다보았습니다. 
20. 아마존이 3년만에 아마존 프라임 회원권 가격을 (현재 119불) 인상할 것으로 내다보았습니다. 아마존 프라임 비디오, 신선식품 부문이 가격 상승의 정당화 요인입니다.


제품주도성장의 시대, 아웃바운드 영업은 불필요한가? 대답은 “No”

최근 아웃바운드 영업을 바라보는 실리콘밸리 B2B SaaS 스타트업들의 심경은 복잡합니다. 영업투자 효율성 (Unit economics) 관점에서 도저히 타산이 맞지 않는 것 같고, 제품주도성장과 같은 성장방식에 따르면, 저절로 영업 리드가 생기고, 고객이 알아서 제품 경험을 마친 뒤 결제까지 이르는 제품과 고객 경험을 만드는 것이 더 설득력이 있어 보이기 때문이죠. 

하지만, Jason Lemkin은 아직 대부분의 Enterprise Software의 구매는 outbound 영업을 통해 일어남을 꼬집습니다. 경쟁적인 software 시장에서, 큰 규모의 계약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의사결정권한을 가진 SVP, CIO 혹은 VP of XYZ 들이 순수히 제품의 소문을 듣고 이끌려 제품경험과 결제를 하는 것은 너무 이상적인 이야기라는 것이죠. 

B2B SaaS 영업의 고전 ‘Predictable Revenue’에서도 Aaron Ross는 아웃바운드 영업은 인바운드 영업 외 추가 성장을 위한 Layer의 역할을 한다고 지적한 바 있습니다. 

Freshworks, Twilio, IPassword, Coda의 경영진이 이야기하는 ‘제품주도성장 (PLG)’외  아웃바운드 영업 및 마케팅이 중요한 이유

SaaS 회사라면 당연하게 추구해야 할 것 같은 제품주도성장(‘Product-Led Growth’)에 대해 미국에서도 가장 성공한 SaaS 회사들의 CMO 들이 이야기 합니다:  Freshworks의 CMO Stacey Epstein, Twilio의 CMO Sara Varni Bright, 그리고 1 Password의 CMO인 Carilu Dietrich 등

제품주도성장과 제품의 바이럴 효과는 동의어가 아니다: 제품주도성장은 나의 탐색 및 구매의도 없이 제품을 사용할 수 있는 기회가 자연스럽게 주어지는 것. 상대방이 줌 콜 초대를 하면, 내가 자연스럽게 줌을 이용하게 되는 것도 이와 같은 경험이다. 

부서 단위의 계약이 필요할 때, 그래서 부서장 및 C-level의 의사결정이 필요한 엔터프라이즈 계약에서는 영업팀이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제품주도 성장 전략이 회사마다 다른 이유는 제품이 회사마다 다르기 때문이다. 제품의 특징에 따라 제품에서 살펴봐야 하는 지표와 이 지표를 중심으로 한 영업 및 마케팅 전략이 다르다.

제품 주도 성장에 대해 더 알아나가길 원한다면 이 포스팅이 도움이 될 것 같습니다.

제품주도성장(Product Led Growth)의 일곱가지 FAQ

2021년 8월 초 발간한 Discover Cloud 2021에 언급된 제품주도성장 (Product Led Growth, “PLG”)에 대해 정확히 어떤 의미고 어떤 사례가 있는지 다양한 분들로부터 질문을 받게 되었습니다. 앞으로 Discover Cloud 2021에서 언급한 주요 클라우드 기반의 SaaS 트렌드를 조금 더 자세히 다루는 블로그 글을 연재물로 내놓으려 합니다.  오늘은 제품주도 성장 (이하 “PLG”와 혼용해서 사용함)에 대해 얘기해보겠습니다. “PLG”의 사전적…


Twitter Joins Big Tech Assault on Live-Shopping Startups; Harassment on TikTok

핀터레스트, 페이스북, 유튜브에 이어 트위터 또한 라이브 쇼핑, 국내에서는 라이브 커머스로 알려진 사업 진출을 표명하며 빅 테크회사의 격전지가 되어 가고 있습니다. 이로 인해 라이브커머스 제공에 집중하는 플랫폼 스타트업들이 향후 대응전략이 미국에서도 많은 관심을 불러일으키는 중입니다(e.g., Supergreat, Talkshoplive, NTWRK). 특히 이들에게 많은 돈을 투자한 VC 들이 노심초사하고 있다고 하는데요, 그래서 라이브커머스의 스타트업들은 대형 테크회사들이 따라오지 못할 니치 세그먼트를 찾거나 (e.g., Whatnot 이 수집가를 위한 제품 판매에 집중), SNS 회사와 경쟁 상황에 있는 애플과 같은 다른 대형 테크회사와 파트너십을 추구하는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고 합니다.


놓쳤던 김치힐 블로그 다시 돌아보기

센드버드 플립 이야기: 우리가 플립을 하지 않았어도 괜찮았을까?

새벽 5시에 일어나서 6시에 있을 미국팀과의 줌 콜 준비를 시작한다. “어제도 7시 첫 콜을 시작으로 자정이 가까워서 퇴근해야 했는데.. ” 불과 1년 전 미국에서도 미국과 한국 시간에 모두 맞춰 일해야 해 줄곧 새벽 2시까지 일하던 것이 떠올랐다. 많은 분들께 글로벌 비즈니스 운영의 노하우를 질문 받지만, 글로벌 비즈니스는 어렵고 왕도(silver bullet)가 없다. 특히 요즘처럼 물리적 왕래…

Leave a Reply